[1. 송파구 갭투자 사기 사건 (2021년)]
송파구에서 A씨는 수십 채의 빌라를 갭투자로 매입한 뒤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잠적했습니다. A씨는 자신이 소유한 빌라에 전세를 놓고, 이후 매매 대금 일부만 지급하고 보증금은 돌려주지 않는 수법으로 수십 명의 임차인에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임차인들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 피해를 봤으며, 이 사건을 통해 전세 사기의 심각성이 대두되었습니다.
[2. 청담동 허위매물 사기 사건 (2020년)]
청담동의 고가 아파트를 대상으로 허위 매물을 광고한 사기 사건입니다. 사기범은 인터넷에 유명 아파트의 고가 매물을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올려놓고, 계약금을 받은 후 연락을 끊었습니다. 피해자들은 유명 부동산 사이트를 신뢰하고 계약금을 보냈으나, 해당 매물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짜 매물이었습니다.
사기범은 체포되었지만 피해자들은 계약금을 돌려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습니다.
[3. 일산 신도시 상가 이중매매 사기 (2019년)]
부동산 중개업자 B씨는 경기도 일산의 한 상가를 여러 사람에게 중복으로 매도하는 방식으로 수십억 원을 편취한 사건입니다. B씨는 상가를 실제로 소유하지 않았으나, 허위 서류를 만들어 여러 사람에게 매도 계약을 체결하고 돈을 받아 잠적했습니다.
다수의 피해자들이 같은 상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으나, 법적으로는 아무도 소유권을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4. 강남 오피스텔 임차 보증금 사기 (2018년)]
강남 지역의 고가 오피스텔을 대상으로 한 임대 사기 사건입니다. 임대인인 척 속인 사기범은 실제로는 소유권이 없는 오피스텔을 임대한다며 계약을 체결하고, 보증금을 받은 뒤 잠적했습니다. 피해자들은 나중에 실제 소유자가 따로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피해자들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소송을 제기했지만, 사기범은 이미 해외로 도피한 상태였습니다.
[5. 부동산 개발 투자 사기 (2016년)]
대규모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빙자해 투자금을 모집한 사기 사건입니다. C씨는 특정 지역의 개발이 확정되었다고 홍보하며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률을 약속하고 수백억 원을 모은 뒤, 개발이 전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주했습니다.
수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았고, 사기범은 구속되었으나 대부분의 투자금은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6. 위조된 등기부 등본 사기 (2015년)]
D씨는 위조된 등기부 등본을 사용해 존재하지 않는 부동산을 매도하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습니다. 등기부 등본을 위조해 소유주인 척하며 부동산을 매도했으며, 이를 믿은 매수인들이 거액의 계약금을 지불했습니다.
피해자들은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였으며, 법적으로도 보상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7. 전세 사기 일당 검거 (2022년)]
서울과 수도권 일대에서 전세 사기를 저지른 일당이 검거된 사건입니다. 이들은 다세대 주택이나 빌라를 대상으로 가짜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보증금을 받은 후 건물 소유주와 공모하여 사기를 저질렀습니다.
수십 명의 피해자가 발생했고,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들은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8. 부동산 경매 사기 사건 (2021년)]
E씨는 부동산 경매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경매 과정에서 우선권을 준다며 돈을 요구한 후 이를 가로챘습니다. 실제로 경매에 참여한 적이 없으면서 허위로 경매 당첨이 가능하다는 식의 거짓말로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아냈습니다.
피해자들은 경매에 참가조차 하지 못했고, 사기범은 체포되었지만 대부분의 피해 금액은 회수되지 않았습니다.
[9. 부동산 권리금 사기 (2017년)]
F씨는 자신이 임대하고 있는 상가의 권리금을 높은 가격에 매도한다고 속이고, 실제 권리금보다 훨씬 높은 금액을 받은 뒤 계약을 취소하거나 잠적했습니다. 상가 권리금에 대한 신뢰를 악용해 발생한 사기입니다.
피해자들은 법적 대응을 했으나, 권리금 반환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10. 동탄 신도시 택지 사기 사건 (2019년)]
동탄 신도시의 미개발 택지를 대상으로 사기를 벌인 사건입니다. 사기범은 특정 택지가 개발될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린 뒤, 해당 부지를 미리 매입하라는 식으로 투자자들을 모았습니다. 그러나 해당 부지는 개발 계획이 없었고, 피해자들은 허위 정보를 믿고 투자했다가 큰 손해를 입었습니다.
피해자들이 소송을 제기했으나, 이미 사기범은 해외로 도피한 상태였습니다.